신10:1-11
모세는 하나님이 광야 40년을 지난 이스라엘에게 그 시점까지 주셨던 것을 강조합니다. 즉 광야 40년을 지날 수 있는 근본적인 힘이 어디서 왔는지를 말해주었습니다. 사역자는 사역의 힘이 어떤 루트(route)를 통해 오는지 알아야 합니다.
1.모세는 광야 백성들에게 그 당시까지 있었던 것을 말합니다.(5,8)
모세는 하나님이 말씀을 기록해 주신 두 돌 판이 있다고 말합니다.(2)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말씀을 받았습니다. 시내산에서 처음 받았던 두 돌 판을 모세가 깨뜨렸을 때, 하나님은 다시 만든 돌 판에 말씀을 기록해 주셨습니다. 하나님은 말씀은 백성들에게 힘과 능력을 줍니다. 다니엘은 말씀으로 힘을 얻었습니다.(단10:19)
모세는 하나님을 섬기고, 나무 궤를 메는 레위인이 있음을 말합니다.(8) 레위인은 하나님과 백성 사이에서 중보적 사역자였습니다. 백성들을 대신해서 성막에서 하나님을 섬기고, 나무 궤를 메고 백성들과 함께 움직였습니다.(민4:15) 이스라엘은 레위인의 사역을 통해서 광야에서 하나님과 동행해 왔습니다.
모세는 하나님의 이름으로 축복하는 일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말합니다.(8) 아브라함이 이삭에게 축복하듯이 각 가정에서는 아버지의 축복이 있지만, 민족적인 면에서는 레위사람들이 백성을 축복하는 사역을 하게 되었습니다.(신21:5) 레위사람의 축복사역의 목적은 결국 모든 백성들이 하나님의 복을 받는 것에 있습니다.
2.하나님은 사역자들이 힘을 얻는 통로를 열어 놓으셨습니다.
하나님은 말씀을 주어 백성들이 힘을 얻게 합니다. 말씀이 기록된 두 돌 판은 깨어질 수 있지만 말씀은 깨어지지 않습니다. 말씀을 주시는 것은 그 백성과 세워진 언약을 끝까지 지키겠다는 것입니다. 사울 왕은 하나님의 말씀이 없었습니다.(삼상28:6) 말씀이 있으면 하나님의 능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길이 있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언약궤를 메고 섬기는 사람을 세워 힘을 얻게 합니다. 레위지파는 시내산에서 금송아지 사건 때에 여호와의 편에 선 자들이었습니다.(출32:26) 이것이 그들이 하나님을 섬기며 언약궤를 메는 근거가 되었습니다. 하나님의 은혜로 언약궤를 메는 사람은 이스라엘에게 힘과 능력의 통로가 됩니다.
하나님은 사역자들에게 그의 이름을 주어 힘을 얻게 하셨습니다. 레위인의 사역 중 하나는 백성들을 하나님의 이름으로 축복하는 일입니다. 하나님의 백성을 향한 축복은 하나님의 힘을 얻는 통로입니다. 예수의 제자들은 예수의 이름으로 기도하고(요14:13-14), 또 예수의 이름으로 귀신을 쫓아내게도 하셨습니다.(막16:17)
3.하나님의 힘을 공급받는 통로를 잘 알고 사역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경청해야 합니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힘을 주시는 첫 번째 통로인 하나님의 말씀에 대해서 듣고, 믿고, 순종해야 합니다. 엘리의 아들 홉니와 비느하스처럼 말씀에 대한 순종은 없이 언약궤만 있으면 소용없습니다.(삼상4:4) 오히려 사무엘처럼 하나님의 말씀을 순종의 자세로 들어야 합니다.(삼상3:10)
하나님의 사람과 함께해야 합니다. 우리를 위하여 세워주신 하나님의 사람과 함께하는 것이 하나님과 동행하며 힘을 얻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보내심을 받은 예수는 제자들을 세상에 보냅니다.(요17:18) 예수께서 보내신 자와 함께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사람은 또 다른 믿음의 사람을 통해 힘을 얻습니다.(골4:11)
하나님의 이름으로 사역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아들은 아버지의 이름을 받아 세상에 오셨고, 그 이름을 제자들에게 주어 사역하게 하셨습니다. 예수께서 우리에게 주신 그의 이름으로 사역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공급하시는 힘으로 사역하는 것 같이 해야 합니다.(벧전4:11) 그 이름으로 하는 사역에 하나님이 힘을 더하십니다.
사역을 할 수 있는 힘과 능력을 공급하시는 하나님의 은혜의 통로가 막히지 않게 해야 합니다. 세상의 다른 힘으로 사역하려고 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입니다.
'하나님의 말씀 > 오늘의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님을 체험한 사역자의 책무 (0) | 2016.08.12 |
---|---|
사역자를 향한 하나님의 요구 (0) | 2016.08.06 |
사역자의 정체성 (0) | 2016.07.22 |
사역의 공로 (0) | 2016.07.15 |
사역자의 능력 (0) | 2016.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