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13:1-18
하나님은 적당한 때에 하나님의 사람을 시험하십니다. 그러나 이 시험은 유혹에 빠지게 하는 것이 아니라 테스트입니다. 시험 그 자체는 견디기 힘들고, 어렵지만 하나님의 시험은 사역자들을 더욱 강건하게 하고, 더욱 큰 복을 받게 합니다.
1.가나안을 정복한 하나님의 사역자들에게 하나님의 시험이 있습니다.
하나님의 시험은 하나님의 기쁨이 됩니다. 하나님은 백성들이 하나님을 사랑하는 여부를 알기 원합니다.(3) 사람의 중심을 아시는 하나님이(삼상16:7) 마음을 알기 원한다는 것은 다른 목적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시험(약1:2)은 사람을 유혹하는 시험(약1:13)이 아닙니다. 하나님은 백성들의 마음을 다한 사랑을 기대합니다.
하나님의 시험은 대적에 대한 승리가 됩니다. 하나님의 시험은 이스라엘의 신앙을 증명합니다. 시험이란 ‘나싸’라는 단어는 ‘시도, 모험, 증명하다’의 의미가 있습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신앙을 드러내어 하나님의 영광을 받기를 원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욥을 하나님의 종이란 사실을 증명하고 싶어 하셨습니다.(욥1:8)
하나님의 시험은 그 시험을 통과한 사람이 더욱 복을 받게 합니다.(17) 하나님의 시험 그 자체는 힘들고 어려운 과정이지만 그것은 사람을 더욱 온전케 합니다. 하나님의 사람은 하나님의 시험을 통과하면서 더욱 강건해집니다. 하나님의 시험은 하나님의 사람을 강하게 만드시는 단련이고, 훈련이 됩니다.(롬5:3-4)
2.하나님은 그의 시험을 잘 치룰 수 있는 길을 가르쳐 주셨습니다.
분별을 가르쳐 주셨습니다. 하나님의 시험의 결과적 대답은 오직 하나님만이 참 신이라는 것입니다. 거짓 선지자가 이적과 기사를 보여주며 미혹해도 그 결과가 하나님이 아닌 다른 신, 혹은 사람을 섬기라고 하면 거짓말입니다.(요일4:1) 느헤미야처럼 거짓의 영에 속아 넘어가지 않는 지혜의 영을 받아야 합니다.
우선순위를 가르쳐 주셨습니다. 가까운 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말은 쉽게 거절하기 어렵습니다. 사탄은 하와를 통하여 아담을 무너뜨렸습니다. 사람과의 가까운 관계가 더 우선순위에 있으면 하나님을 소홀히 여기게 됩니다. 아브라함에게 주어진 시험은 우선순위의 시험이었지만 그것을 통과하고 복을 받았습니다.(창22:2, 17)
단호함을 가르쳐 주셨습니다. 하나님은 유혹에 대해 모든 악을 제하라고 강조하셨습니다.(5,11,15) 악을 제거하려면 끊어버리는 단호함이 필요합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에게 ‘진멸’의 명령을 주셨습니다.(신7:16) 신약교회는 사람을 직접 죽이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에서 내쫓는 출교를 합니다.(마18:17, 고전5:13)
3.우리는 제자를 향한 예수의 시험 같은 시험을 잘 통과해야 합니다.
예수를 향한 온전한 신앙고백을 해야 합니다. 예수는 제자들에게 그가 누구인지 본질에 대해 질문하셨고(마16:15), 베드로는 바른 대답을 했습니다.(마16:16) 하나님의 살아계심과 그의 보내신 아들을 알고 믿음으로 고백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예수께 대한 바른 신앙고백이 하나님의 시험에 대한 온전한 답입니다.
예수의 능력을 신뢰하고 순종해야 합니다. 예수는 무리들에게 말씀을 전하신 후에 빌립을 시험하셨습니다.(요6:5-6) 바른 대답을 하지 못한 빌립에게 예수는 오병이어의 이적을 보여주셨습니다. 우리가 감당할 수 없는 일을 어떻게 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오직 주님 손에 드리고, 주께 순종하는 것이 바른 답입니다.
예수를 사랑해야 합니다. 부활하신 주님이 베드로에게 하신 질문은 사랑의 질문이었습니다.(요21:15) 사역자들에게 주를 사랑함은 가장 기본이고 중요한 문제입니다. 하나님이 이스라엘에게 원하신 것이 이것이고, 이 땅에 오신 하나님의 아들이 제자들에게 물으시는 것도 이 문제입니다. 다윗처럼 고백해야 합니다.(시18:1)
하나님의 사역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끊임없이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우리를 끝없이 사랑하시는 하나님을 끝없이 사랑하는 사역자들이 되어야 합니다.
'하나님의 말씀 > 오늘의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림, 나눔, 세움의 사역 (0) | 2016.10.07 |
---|---|
사역자의 생사관(生死觀) (0) | 2016.10.01 |
사역자의 탐구 (0) | 2016.09.16 |
사역자의 일상의 영성 (0) | 2016.09.09 |
사역자와 예배 (0) | 2016.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