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엘 6:19-28
다니엘은 바벨론과 메대 바사 제국에서도 형통했습니다. 형통은 거침없이 앞을 향해 전진해 나가는 모습입니다. 우리는 이 시대에 형통한 성도와 교회가 되어야 합니다. 형통함은 형통하게 하시는 하나님을 향한 아멘의 삶으로 이루어집니다.
1.하나님은 바벨론과 메대 바사 제국 시대에 다니엘을 형통하게 하셨습니다.
하나님은 다니엘에게 영을 부어주셔서 항상 그와 함께하셨는데 이것이 그의 형통함입니다(28). 하나님의 영이 임한 일은 하나님의 동행하심입니다. 하나님은 다니엘이 바벨론과 메대 바사 제국 때까지 늘 함께하셨습니다(단1:21). 하나님이 함께하시는 형통은 그의 백성이 물과 불의 고난의 환경 속에서도 누립니다(사43:2).
하나님은 사자의 입을 봉하고 다니엘을 살림으로 그의 무죄를 입증하셨는데 이것이 그의 형통입니다(22). 형통한 다니엘은 자기의 무죄를 주장합니다. 형통한 사람은 하나님이 그를 의롭다고 인정하신 사람입니다. 사탄은 하나님의 백성을 정죄하려고 하나 실패합니다. 하나님의 백성은 정죄당하지 않습니다(롬8:1-2).
하나님은 다니엘의 영향력으로 왕이 하나님을 인정하게 하셨는데 이것이 형통입니다(26). 다리오는 다니엘의 하나님을 모든 민족이 알게 했습니다(26-27). 이 조서로 바벨론에 있는 유대인들도 그들의 하나님을 깨달았으며, 많은 사람이 함께 돌아왔습니다(스2:64-65). 다니엘의 형통함이란 세상에 대한 선한 영향력입니다.
2.예수 그리스도는 우리가 하나님의 형통을 누리게 하셨습니다.
예수는 제자들과 함께하며 그들에게 성령을 보내주셨습니다.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를 가지신 예수는 제자들에게 사명을 주시면서 항상 그들과 함께하실 것을 약속하셨고(마28:20), 보혜사 성령을 보내주심으로 함께 하셨습니다. 성령 충만한 사도들은 위협을 받은 상황 속에서도 더욱 담대하게 일하려고 했습니다(행4:29).
예수는 부활로 그의 무죄를 입증하셨고, 그를 믿는 자들을 의롭다고 하셨습니다. 유대인들은 예수를 정죄하고 십자가에 내어주었으나 예수는 부활로 그의 무죄를 증명하셨습니다. 예수는 부활로 우리를 의롭게 하셨습니다(롬4:25). 부활의 예수는 우리를 의롭다고 하시고, 실제로 우리를 살아나게 합니다(고전15:23),
예수는 사도를 통해 일하며,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셨습니다. 성령을 받은 사도들은 복음을 전하기 시작했습니다. 바울이 비시디아 안디옥에서 복음을 전했을 때 이방인들도 복음을 듣고 기뻐했습니다(행13:48). 사도들이 전한 복음의 능력이 사람들을 변화시키고 그들이 하나님을 찬양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형통함입니다.
3.우리는 형통한 삶을 위하여 온전한 믿음을 가져야 합니다(23).
하나님의 뜻에 대한 아멘이 있어야 합니다. 순종 신앙입니다. 다니엘은 성전 회복에 대한 하나님의 뜻을 구하는 기도를 했습니다.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지는 일에 아멘을 해야 합니다(마6:10). 다니엘은 하나님의 뜻을 위하여 창문을 열고 기도했는데 아마 동족들이 기도에 동참하기를 원하는 마음이었을 것입니다.
하나님의 보호하심과 다시 살림에 대한 아멘이 있어야 합니다. 부활 신앙입니다. 다니엘 친구들은 하나님의 보호에 대한 아멘이 있었습니다(단3:17-18). 다니엘도 같은 부활 신앙을 가졌습니다. 다니엘의 믿음을 히브리서 기자도 분명하게 언급합니다(히11:33). 우리는 죽음에서 다시 살아났음을 확신해야 합니다(엡2:1).
하나님께 부르심을 받은 사실과 사역의 열매에 대한 아멘이 있어야 합니다. 소망 신앙입니다. 다니엘은 자기를 통해 일하는 하나님을 믿었습니다. 바울도 사도로 부름을 받은 사실을 확신했습니다(갈1:1). 사역에 대한 아멘은 하나님께서 나를 통하여 일하신다는 믿음입니다. 예수 안에서 열매를 많이 맺을 것입니다(요15:5).
우리는 하나님이 주시는 진정한 형통함을 알고, 형통함을 이루는 하나님을 향한 아멘의 삶을 살아야 합니다. 이 시대에 형통한 성도, 교회가 되어야 합니다.
'하나님의 말씀 > 오늘의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끊어지지 않는 은혜의 역사 (0) | 2025.09.26 |
---|---|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0) | 2025.09.19 |
잊히지 않는 교회 (0) | 2025.09.12 |
느부갓네살왕의 고백 (1) | 2025.09.05 |
순찰자를 보내신 하나님 (5) | 2025.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