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11:31
예수를 믿는 믿음은 하나님의 보내신 자를 영접하는 것입니다. 여리고성의 기생 라합은 이스라엘의 정탐꾼을 자기의 삶의 생명줄로 여기고 영접했으며, 그를 통하여 구원을 얻고자 했습니다. 영접신앙은 구원과 생명에 직결되어 있습니다.
1.여리고 성의 기생 라합은 영접신앙을 가졌습니다.
라합은 이스라엘에 대한 소문을 들었고, 이스라엘의 하나님을 인정하고 순종했습니다.(수2:10-11) 여리고에 살던 라합은 애굽에서 나와서 광야에서 40년을 살며 움직이던 이스라엘 민족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을 때 처음에는 두려움으로 가득했지만 결국 그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진정한 신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라합은 이스라엘 정탐꾼들에게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라고 요구했습니다.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라는 것은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가 맹세의 대상임을 믿는 것입니다.(수2:12) 라합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여호와의 이름에 대한 신앙을 가졌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이름을 신뢰한 것입니다.
라합은 정탐꾼과의 약속을 믿고, 창밖에 붉은 줄을 매고 구원의 날을 기다렸습니다. 비밀을 누설하지 않고, 집에 붉은 줄을 매어 놓은 것은 그가 이미 여리고성 사람이 아니라 이스라엘 편에 서 있음을 표현한 것입니다. 그리고 라합은 자기 가족 친족들이 함께 구원받을 수 있도록 그 집안에 사람을 모으고 기다렸습니다.
2.하나님은 라합이 영접신앙을 가질 수 있는 은혜를 주셨습니다.
하나님은 라합이 이스라엘에 대한 소문을 들을 때 깨닫는 마음을 주셨습니다. 여리고성 모든 사람이 같은 이야기를 듣고 두려워할 때 라합은 오히려 하나님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복음을 들을 줄 알게 된 것은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성령은 구원자를 깨닫게 합니다.(고전12:3) 라합에게 복음을 들을 수 있는 영을 주신 것입니다.
하나님은 멸망의 대상 여리고 성에서도 구원을 이루셨습니다. 멸망의 대상인 가나안 족속도 이스라엘 안으로 들어올 수 있는 길을 만들어 주셨습니다. 유대인들은 유대민족의 혈통의 순수성을 강조하지만 하나님은 이스라엘 안에 이방여인들도 영접해 주셨습니다. 라합은 예수의 족보에까지 그 이름이 기록되었습니다.(마1:5)
하나님은 여리고를 무너뜨릴 때 붉은 줄이 있는 라합의 집은 구별했습니다. 성 전체가 무너지지만 라합의 집이 있는 곳은 무너지지 않았습니다. 하나님이 라합의 영접신앙을 인정하신 것입니다. 하나님은 멸망당할 곳과 보호받을 곳을 구별하고 심판합니다.(출8:22) 하나님의 심판은 대상만 정확히 심판하는 정밀성이 있습니다.
3.영접신앙으로 우리가 영접할 대상을 바르게 영접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마음에 영접해야 합니다. 데살로니가교회는 환난 중에서 기쁨으로 말씀을 받았습니다.(살전1:6) 말씀의 영접이 구원의 시작입니다. 롯은 소돔성 멸망에 대한 말씀을 받아들였지만 사위들은 말씀을 받지 않았습니다.(창19:13-14) 더러운 귀신은 사람들이 말씀을 받는 일을 방해하는 일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사람이 되신 예수를 하나님의 보내신 자로 영접해야 합니다. 유대인들은 그 눈앞에 있는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로 영접하지 않았습니다. 예수를 사람을 구원하러 보내신 유일한 구원자로 영접해야 합니다.(요1:12) 이 세상에서 죽음을 피할 수 없는 사람은 자기 스스로도 구원하지 못하며 다른 사람을 구원할 수도 없습니다.
하나님의 보내신 자를 영접해야 합니다. 전도자를 영접하면 복음에 약속 된 복을 누릴 수 있습니다. 예수는 제자들에게 “합당한 자”를 찾으라고 하셨습니다.(마10:11) 전도자를 영접하는 ‘합당한 자’가 되어야 합니다. 마게도냐의 빌립보로 갔던 사도 바울에게는 그를 영접한 루디아가 ‘합당한 자’였습니다.(행16:14-15)
영접신앙이란 사람에게 보내주신 하나님의 은혜를 받아 누릴 줄 아는 신앙입니다. 하나님의 말씀, 생명의 주, 그리고 복음 전하는 자를 잘 영접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말씀 > 오늘의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협력신앙 (0) | 2015.04.30 |
---|---|
공개신앙 (0) | 2015.04.24 |
부활을 믿게 하신 예수 (0) | 2015.04.10 |
예루살렘으로 향하신 예수 (0) | 2015.04.03 |
정복신앙 (0) | 2015.03.28 |